안녕하십니까!
브라보 K 인사드립니다.
오늘 소개해드릴 곳은 제주도 동쪽 관광지
추천코스인 돌문화공원 입니다.
저희는 제주에 거주하고 있어 가족들이나
지인들이 놀러 오면 종종 방문하는 곳이라
이미 여러 번 다녀왔는데요.
최근에 부모님이 제주에 오셔서
함께 다녀왔는데 저희가 방문했던 날이
마지막주 수요일이라 무료로 입장했답니다.
제주도 돌문화공원은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
무료입장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.
제주도 돌문화공원 입장요금
성인 5,000원, 청소년 & 군경 3,500원
만 12세 이하 어린이 만 65세 이상 경로자 무료
제주도 관광지 생각하면 금액이 저렴한 편인 거 같습니다.
- 제1코스(신화의 정원) -
제주도 서쪽 관광지 돌문화공원
첫 번째 코스에서 가장 유명한 장소는
바로 하늘연못이라는 곳입니다.
관람로를 따라 이동하면 쉽게 찾으실 수 있으실 거예요.
돌문화공원은 규모가 너무 커서 골프카트를
대여해서 이용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셔요.
거대한 돌들이 양옆으로 우뚝 솟아있는
이 길은 전설의 통로라는 이름은 가진 곳인데
하늘연못으로 가는 길에 있으니
인증사진 남기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.
이곳이 그 유명한 제주도 돌문화공원 하늘연못입니다.
유명하지 않았을 때는 방수장화라는 게 없었지만
사람들에게 알려지면서 방수장화가 생겼더라고요.
눈이 내리는 날 사진 찍어도 정말 예쁠 거 같죠?
하지만 그런 날 방문하는 게 쉽지는 않을 거 같습니다.
눈이 너무 많이 오면 문이 닫혀있어 볼 수 없고
이래저래 시간 맞추기가 쉽지 않지만
운이 좋아서 눈 오는 날 방문하셨다면 꼭 인생사진 찍어보셔요.
하늘연못 구경을 마치고 돌박물관으로 이동했는데
예쁜 연꽃이 보여서 사진으로 남겨봤습니다.
제주돌박물관은 실내전시관이며
문화관광해설사 운영 중인데
혹시라도 자세한 설명이 듣고 싶은 분은
시간 확인하셔서 방문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.
제주돌박물관 부지는 1989년 12월부터
1999년 12월까지 10여 년 동안
생활쓰레기 매립장이었던 곳으로,
침출수가 발생하지 않는 점을 최대한으로 살려
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게 된 곳이라고 합니다.
3,000평 규모의 제주돌박물관은 깊이 8m로 파여 있던
낮은 구릉지를 이용하여 지하 2층에 수장고,
지하 1층에는 형성전시관과 자연석 전시관을 만들었는데
볼거리가 많으니 천천히 둘러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.
지구의 내부 모습을 조형물도 있었는데
너무 디테일한 모습과 꼼꼼한 설명 덕분에
지구에 대해 좀 더 많은 것들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.
운석들에 대한 설명 그리고 제주도가 만들어진
용암과 용암으로 만들어진 현무암까지
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으니
좀 더 디테일하게 알고 싶은 분은 꼭 방문해 보셔요.
제주돌박물관 구경하다 보면 정말 신기하게 생긴
돌들이 많은데 이거 누가 만든 게 아닐까?
이런 의문이 들만큼 재미나게 생긴 돌들이 많으니
천천히 둘러보면서 구경해 보시면 됩니다.
- 제2코스(제주돌문화전시관) -
두 번째 코스는 제주돌문화를 기능별로 전시하고 있는
초가형 제주돌문화전시관과 선사시대부터
근현대까지의 돌문화를 전시한 야외전시장인데
숲길을 다니면서 관람할 수 있답니다.
오랜만에 많이 걸어서 다리가 아팠는데
쉼팡이라는 쉬는 공간이 있어 잠시 들어가 보니
정수기도 있고 테이블과 의자도 있더라고요.
추운 겨울 시즌에 방문하면 따뜻한 온기를
느끼실 수 있으실 거예요.
저희는 제3코스는 패스했는데
시간 여유가 있으시다면 제주전통 초가마을을
볼 수 있는 제3코스도 방문해 보셔요.
지금까지 제주도 서쪽 관광지 돌문화공원
소개를 해드렸는데 일정 계획하는데
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.
모두 즐거운 제주여행하시길 바래요 ^^
부산 가족숙소 추천 4인 가족 머물기 좋은 아바니 센트럴 부산 호텔 (1) | 2024.11.24 |
---|---|
제주도 기념품가게 핸드메이드 제품 가득한 모이소 (0) | 2024.11.22 |
제주도 동쪽 가볼만한곳 아이와 함께 방문하기 좋은 여행코스 (2) | 2024.11.18 |
제주도 전기바이크 돌고래 뷰 포인트 가까운 수월봉 노을해안 1014 (1) | 2024.11.17 |
대구 동성로 가성비 숙소 추천 | 인섬니아 부띠끄 호텔 내돈내산 후기 (3) | 2024.11.16 |